최근 컴퓨터들은 대부분 64비트 컴퓨터 입니다만, 간혹 64비트 컴퓨터 임에도 32비트 윈도를 사용하시는 경우도 계시고 관련 정보를 어찌 아는지 몰라서 64비트 컴터에 64비트 윈도를 쓰면서도 32비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경우 모두의프린터도 32비트와 64비트 프로그램을 같이 제공중입니다만 여전히 64비트 컴터인데도 32비트 버전을 받아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신지라 .. 어려운 설명은 생략하고 .. 근본적으로 32비트 보다 64비트가 좀더 효율이 좋아서 같은 작업을 해도 좀더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구요.. 윈도에서 내 컴터의 CPU또는 내가 사용중인 윈도가 32비트 인지 64비트인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키보드의 윈도 키..
Go로 윈도 네이티브 GUI 프로그램만들기 2번째 입니다. 앞서 lxn/win, walk 2개 패키지는 go get 하셨을 테구요.. 보통 윈도 API 프로그래밍은 C/C++ 에서도 노가다의 최 정점에 놓여진 그런 놈입니다 ㅋㅋ 그게 싫어서 쓰는게 go 같은 언어들인거고 .. 그런 이유로 이 lxn/walk 의 경우에도 좀더 편하게 GUI를 만들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요. 그게 lxn/walk 패키지에 포함된 declarative 라는 패키지 입니다. package main import ( "github.com/lxn/walk" . "github.com/lxn/walk/declarative" "strings" ) func main() { var inTE, outTE *walk.TextEdit MainW..
앞서 크롤러 관련된 강좌를 하다 만게 있는데요.. 요청이 가장 많았어서 시작을 하긴 했는데 아무래도 크롤러가 개발자 입장으론 윤리문제가 좀 있는 영역이고 법적으로도 문제 소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큰 영역이라 그걸 대놓고 강좌랍시고 하는 건 좀 ;; 아닌 것 같다는 피드백도 꽤 됐던 지라.. 크롤러 관련된 강좌는 하지 않겠습니다. 저는 Go개발에 MS의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합니다. 관련 사항은 이전 111GO 글을 참고바랍니다. 이번엔 Go언어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 동작하는 네이티브 GUI 프로그램을 만드는 법을 다뤄보려 합니다. 강좌라느니 그런 거창 한 건 아니고요. 그냥 피로곰이란 놈은 이런식으로 쓰고 있구나? 그정도.. 그리 잘 짜여진 코드도 아니고 배울만한 뭐 그런..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