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컴퓨터들은 대부분 64비트 컴퓨터 입니다만, 간혹 64비트 컴퓨터 임에도 32비트 윈도를 사용하시는 경우도 계시고 관련 정보를 어찌 아는지 몰라서 64비트 컴터에 64비트 윈도를 쓰면서도 32비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경우 모두의프린터도 32비트와 64비트 프로그램을 같이 제공중입니다만 여전히 64비트 컴터인데도 32비트 버전을 받아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신지라 .. 어려운 설명은 생략하고 .. 근본적으로 32비트 보다 64비트가 좀더 효율이 좋아서 같은 작업을 해도 좀더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구요.. 윈도에서 내 컴터의 CPU또는 내가 사용중인 윈도가 32비트 인지 64비트인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키보드의 윈도 키..
NesPDF 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에서 모두의 프린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사용자 피드백이 최근들어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https://www.nespdf.com/ NESPDF NESPDF의 새로운 PDF 이제부터 당신의 PDF는 NESPDF입니다. PDF Edit, Converter, Reader, OCR, Excel모드 별도의 Converter, Driver 툴 제공 PDF 매니저 탐색기 지원 무료체험판 지금구입 www.nespdf.com 이 사이트에서 배포하는것 같은데요.. 회사 자체는 한국 회사로 나오는데 .. 인터넷서 찾아지는 정보로는 원 개발사는 아니고 .. 소스를 사다가 만들었다는 내용도 찾아지긴 합니다만 .. 누가 어디서 만들었냐가 중요한건 아니니까요 .. PDF편집 기..
이미 공지나 몇몇 글에서 작성은 해 둔 내용이지만 좀더 상세한 이유를 알고 싶어 하시는 분들의 문의가 있어서 조금 풀어쓴 내용을 올려 봅니다.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25517 갤럭시북S에서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가 안돼요. 인쇄가 안됩니다. [삼성전자서비스] www.samsungsvc.co.kr 위 글은 삼성전자 서비스 홈페이지에 올라온 삼성전자의 답변글의 링크입니다. 애초에 모두의 프린터에서 ARM을 사용하는 컴퓨터에 대한 문제가 이슈된것도 삼성에서 ARM64 기반의 노트북을 팔아먹으면서 부터 문제가 시작되었습니다만.. 최근에는 애플에서 실리콘(m1)맥을 내놓으면서 CPU를 인텔에서 ARM64기반으로 아키텍쳐를 옮겨가면서 .. 맥 사용자분들이 가상머신을 써서..
클리앙에 PDF 병합등을 해주는 6만원이 넘는 소프트웨어가 무료로 한시적으로 풀렸다는 글에 댓글을 달았더니, 그 댓글에 달린 댓글을 보고 있으니 .. 언젠가 한번 글하나 쓰긴 해야 겠다 생각한게 있어서 ..생각난김에 하나 써봅니다 .. 보통은 출력제한이 존재하는 사이트에서의 PDF로 출력을 위해서 모프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대다수이긴 합니다만. 모두의 프린터에 내장된 기능이 단지 인쇄를 PDF로 만들어주는 것만을 하는건 아니라서 .. 몇가지 모프를 일상적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어떤식으로 활용들을 하고 계신가 하는 예를 몇가지 들어드립니다. 1. PDF(hwp든 docx든 뭐든간에;;)의 이미지 변환 모프 관리페이지의 변환 -> 변환포맷을 보시면 .. PDF외에도 다양한 포맷으로 출력을 변환가능합니다. 우선..
v3.02 부터는 VMWare 같은 가상머신을 사용해야만 하던 사이트를 대상으로 모두의 프린터 만으로 간편하게 출력 할 수 있는 '공용 릴레이 서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https://modu-print.tistory.com/894 모두의 프린터 '공용 릴레이 서버' 안내 모두의 프린터 v3.02 버전 부터는 공용 릴레이 서버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두의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복잡한 설정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만, 일부 사이트들의 경 modu-print.tistory.com 위 글을 참고 바랍니다. 릴레이가 필요하지 않는 사이트를 대상으로 공용 릴레이 서버를 이용하지 마십시요! 부탁 드립니다. 사용 설명 영상만으로 해결이 안되는 몇몇 사이트들에서 해볼 수 있는 마지막 방법들에..
2.50 버전 부터는 관리페이지 옵션에서 변환완료시 띵동~ 소리를 끌 수 있습니다. 모두의 프린터를 통해 인쇄를 하고 PDF변환등이 완료되는 경우 띵동~ 하는 안내음이 출력되는데요. 상황에 따라선.. 회사나 기타.. 소리에 민감한 상황이 있을수 있을것 같긴 하네요 .. 최근에는 wav 파일을 통해서 모프 자체적으로 소리를 내고 있는 관계로.. 모두의 프린터 설치경로 안에 보시면 gs 폴더가 존재합니다. 이 폴더 안에 보시면 dingdong.wav 라는 파일이 존재하구요. 만약 띵동~ 말고 다른 소리를 내게 하고 싶으시면 wav 파일로 암거나 이름을 dingdong.wav로 변경해서 덮어 씌우시면 되겠구요.. 아무런 소리도 나지 않길 바라시면 이 파일을 받아서 gs 폴더 안에 덮어 씌우시면 변환완료 안내 ..
Fasoo 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DRM 솔루션 인데요 보통 기업시장에서는 내부 자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eBook 같은 출판업계에선 스샷을 찍는다거나 화면을 녹화한다거나 하는 등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 Fasoo 라는 놈이 모두의 프린터 사용과 어떤 관련이 있느냐? 문서 유출을 방지하거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다는 범주 안에 프린터를 통한 출력을 관제하는 기능이 포함되기 때문이지요. 한마디로 이 Fasoo 라는 놈이 가진 기능중에는 허용되지 않은 프린터를 통한 출력 이라던가 .. 허용되지 않은 위치에서의 출력이라던가 .. 여튼간에 출력을 맘대로 하지 못하게 할수도 있다는 겁니다. 물론 Fasoo 는 그 사용처에 따라서 엄청나게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종종 문의를 해오시는 사용자 분들이 많으셔서 .. 한가지 팁을 좀 알려드리려고 글을 씁니다. 팩스기능이 있는 복합기가 있으신 분들이야 출력해서 바로 보내시거나 아님 컴터랑 연동이 될경우 PDF파일을 인쇄하듯 팩스를 보낼수도 있으니 상관 없지만.. 인터넷팩스 사이트 같은데를 이용하시려는 분들중에서 사이트에서 PDF가 아닌 이미지로만 업로드가 가능한 경우 어찌해야 하느냐를 물어오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게 특정 시즌(?)이 있는진 모르겠지만 주기적으로 문의가 있다가 없다가 하네요. 제가 관리페이지 메뉴들에 대한 설명서를 좀 작성을 해야하는데 기능 변화가 자주 있다보니 반은 포기(?) 했다가 .. 여직 제대로된 기능설명을 못하고 있어서이기도 합니다만.. 모두의 프린터 관리페이지의 변환메뉴에 변환포맷을 보시면 ..
간혹 방화벽이나 사내 네트워크로 외부 인터넷 연결에 제한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모두의 프린터를 사용하시려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기본적으로 모두의 프린터는 인터넷을 통해서 설치파일 및 구성요소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됩니다. 그런 관계로 인터넷 연결에 제한이 존재하는 경우 설치프로그램이로 설치가 불가능 한데요. 이런경우 사용할 방법이 없겠느냐 라고 문의하시는 사용자분들이 종종 계십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모두의 프린터는 시스템 레지스트리나 기타 모두의 프린터가 설치된 경로에 존재하는 파일들 외에 다른 위치에 무언가를 하지 않습니다. 레지스트리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구요. 인터넷이 되는 환경의 컴퓨터에서 모두의 프린터를 설치하시고 기본 프린터인 CLX-6240, CLX-6200의 프린터 드라이버가 설치된것까지..
1.89 부터는 PCL, PS 등이 명시되지 않은 프린터 드라이버도 관리페이지 프린터 드라이버 리스트에 보여지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종이 출력용 프린터를 잘못 선택 하시고 '자동설정'이나 UPnP설정등을 진행해버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다음 과정을 따라 하십시요. 우선 잘못 설정해버린 프린터를 선택하시구요 전 이놈이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시면 프린터 속성창에서 3번째 "포트" 탭을 선택 하시면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프린터 포트가 리스트에 출력됩니다. 윈도는 프린터 설정과 프린터의 포트설정이 별개의 정보로 저장됩니다. 모두의 프린터에서 자동설정등을 하게 될 경우 새로 표준 TCP/IP 포트를 생성한 후 해당 프린터의 포트를 새로 생성한 포트로 교..
많은 분들은 특정 시기에 모두의 프린터 사용이 집중되시는 편이지만 또 반대로 늘상 사용하시는 분들도 꽤 되시는데요 그러다보니 모두의 프린터를 윈도가 시작될때 자동으로 실행 시키고 싶어하시는 분들이 종종 계십니다. 물론 관리페이지에서 옵션으로 지원을 하면 좋겠지만 여러 이유에 의해 최대한 이 컴터에 모두의 프린터가 존재함을 추적 가능한 어떤 기록같은건 남기지 말자 주의라 ( 그간 받은 핍박을 생각 하면 ㅠ_ㅜ ) 여튼 모두의 프린터를 시작프로그램으로 등록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시작프로그램 폴더에 바로가기를 넣는 겁니다. 키보드의 윈도키+R 을 누르시고 shell:startup 라고 입력하십시요. 이렇게 시작프로그램 폴더가 열립니다. 윈도7 이전에서는 시작메뉴에 폴더들이 주르륵 나오던 시기라 시작프로그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