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버전을 업데이트하면 이런 업데이트 안내를 띄웁니다...만 기존에 이 창에 웹뷰를 통해서 업데이트 내역에 대한 블로그 주소를 보여지도록 하다가 이 기능에 사용한 웹뷰 자체가 워낙 레거시 기술이라 문제가 많아서 제거를 하면서 따로 업데이트 내역에 대해 웹브라우져를 호출하도록 하고 있었습니다만 .. 이게 이 업데이트 안내창과 별도로 또 뜨게 되면서 이 창 자체를 가려버리거나 해서 불편하고 ..
애초에 모프 종료시에 제 블로그를 띄우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중복적으로 할 이유가 없을것 같아서 제외 하였습니다.
불필요한 *.tmp 파일 생성 방지
이번에 공용 릴레이 서버를 3.02 버전에서 업데이트 하고 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이런저런 상황에 임시 파일인 *.tmp 파일이 변환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에도 계속 남아 있는 경우가 너무 많더라구요 ..
지우지 않고 놔둔 이유는 원본 파일을 피드백 받아 문제를 해결할 일들이 과거에 많이 있었기 때문인데 .. 5년 가까이 개발해온 지금에는 불필요한 경우도 많아서, 정말 삭제하지 않고 남겨둬야 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tmp 파일이 남지 않도록 수정되었습니다.
공용 릴레이 서버 이용시 보안 강화
기존에 UPnP설정이나 VMWare, VirtualBox등을 사용해야만 PDF출력이 가능한 몇몇 사이트를 좀더 편히 이용 가능하게 v3.02 버전부터는 공용 릴레이 서버를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만 .. 릴레이의 기준이 아이피 주소이다 보니 경우에 따라서는 같은 아이피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공용 릴레이 서버를 이용할 경우 .. 확률상 어려운 케이스라 하여도 ..
같은 아이피를 사용하는 ( 같은 공유기를 사용중인 ) 사용자 A와 B가 동시에 공용 릴레이 서버를 사용할 경우에..다른 사용자의 출력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도 있습니다. 같은 아이피를 쓰는 사용자가 공용 릴레이 서버에 접속해서 출력을 하는 5분 사이에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 릴레이 서버로 출력을 할 확률이 높진 않지만..
프린터 드라이버가 생성하는 프린트 데이터에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 컴퓨터의 장치정보가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컴퓨터 명이나 출력한 문서의 제목과 같은 이러한 정보를 기준으로 공용 릴레이 서버를 통해서 수신 받은 데이터상의 컴퓨터 정보와 그 데이터를 처리할 컴퓨터의 장치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을 중단하고 변환 없이 수신된 데이터는 바로 제거하도록 수정하였습니다.
쉽게 말해서 .. 공용 릴레이 서버를 통해서 전달 받은 데이터가 내가 생성한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변환 처리를 하지 않고 받은 데이터들도 삭제 해버린다는 말입니다.
아무래도 이 기능을 사용하실 분들이 학생이나 취업준비생의 비율이 높을 것이고 .. 이러한 분들의 인터넷 환경은 대체로 모르는 다수의 사람들이 같은 공유기나 같은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