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글은 삼성전자 서비스 홈페이지에 올라온 삼성전자의 답변글의 링크입니다. 애초에 모두의 프린터에서 ARM을 사용하는 컴퓨터에 대한 문제가 이슈된것도 삼성에서 ARM64 기반의 노트북을 팔아먹으면서 부터 문제가 시작되었습니다만..
최근에는 애플에서 실리콘(m1)맥을 내놓으면서 CPU를 인텔에서 ARM64기반으로 아키텍쳐를 옮겨가면서 .. 맥 사용자분들이 가상머신을 써서 윈도를 돌리더라도 설치가능한게 ARM용 윈도가 되버리니 같은 문제가 발생 하는거죠
갤럭시북S에 탑재된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10은 퀄컴 스냅드래곤 모바일 컴퓨트 플랫폼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Windows10 버전이 낮을 경우, 일부 프린터 사용을 위해 Windows10 버전 업그레이드나 퀄컴 플랫폼 기반의 프린터 드라이버 재설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쇄가 안될 경우 아래 순서대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Windows10 ver1809(RS5)부터 'Mopria' 지원 프린터를 지원하며, 사용 중인 프린터의 'Mopria' 지원 여부와 Windows10 버전을 확인하신 후 Windows10을 업데이트하여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삼성에서도 언급을 하네요 ㅎㅎ 갤럭시북S에는 스냅드래곤이 달려 있다. 이 스냅드래곤이 보통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등에서 많이 쓰이는 ARM기반의 CPU입니다.
여기서 언급되는 Mopria 라는건 프린터가 워낙 오래된 레거시 장치인지라 지금까지도 여전히 존재하는 표준들 조차 제대로 안지켜지거나 각 제조사별로 특이한 방법으로 추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기에 늘 그랬듯 또 어떤 규칙을 정하고 그걸 좀 지켜보자~~ 라는 의미로 또 제조사들이 뭉쳤다~ 라고 볼순 있는데요 ..
문제는 이 Mopria의 사이트에서 지원한다고 나오는 프린터라고 해도 모두의 프린터에 마냥 사용할 순 없다는..
1. 먼저 사용 중인 프린터의 'Mopria' 지원 여부를 확인하세요. Windows 10 version 1809(RS5)부터 Mopria를 지원하는 프린터가 Microsoft IPP Class Driver 를 통해서 지원이 됩니다. (아래 링크 참고)☞ (새창) Mopria 인증 프린터로 Windows 10에서 인쇄※ 일부 프린터의 경우 해당 모델 전용 드라이버에서 지원하던 세부 기능들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Mopria를 지원하는 프린터는 PC와 프린터를 Wi-Fi로 연결 시 프린터 사용이 가능합니다.Mopria 지원 프린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보유하신 프린터 제조사를 선택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부터 문제가 시작됩니다 ㅎㅎ
Windows 10 version 1809(RS5)부터 Mopria를 지원하는 프린터가 Microsoft IPP Class Driver 를 통해서
이 한줄에 모두의 프린터에서 Mopria 지원 드라이버라 해도 사용이 힘든 이유가 몇가지가 나와버리네요.
우선 모두의 프린터를 사용하는 대다수의 사이트들은 프린터 제한이 존제합니다. 콕 찝어 말하자면 출력하는 사이트들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프린터가 정확하게 프린터의 모델을 확인 가능한 드라이버를 쓰고 있어야 하고 자신들이 허용한 프린터 포트로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그러면 저 한줄에 불가한 몇가지 이유가 있다고 말씀드린걸 풀어보자면.
1. 범용 프린터 드라이버임
대부분의 프린터를 제한하는 사이트들은 정확한 프린터의 모델명을 프린터 설정에 대한 레지스트리에서 얻어서 그 프린터 모델이 자신들이 가진 지원가능 프린터 목록에 존재하는가를 따져서 정상적인 출력이 가능한 프린터라고 하여도 해당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프린터로는 출력을 하지 못하게 합니다.
그런이유로 Samsung Universal Pritner Driver라던가 HP Universal Printing 같은 드라이버를 직접 프린터를 연결한 상태로 설치해서 시스템 레지스트리에 정확한 프린터의 모델명이 명시된 상태로 설정이 되어져 있지 못하면 출력이 거부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기본적으로 윈도설치시 자신들이 만든 범용 프린터 드라이버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보통 Class Driver 라는 명칭으로 존재하는데요.
표준을 잘 지켜서 개발된 프린터라면 이러한 MS에서 만든 범용 프린터 드라이버를 통해서도 충분히 출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런 드라이버들은 프린터 제한을 하는 사이트에서 허용 프린터 목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왜?
정확한 모델을 알수 없는 많은 놈들에게 사용 가능한 놈이니까..
2. 대체로 IPP 프로토콜임...
모두의 프린터는 Postscript, PCL 방식의 프린터 드라이버를 대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이는 과거에도 그렇고 현재도 출시되는 대부분의 프린터들의 80% 이상은 Postscript 나 PCL 방식을 통해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IPP 는 Internet Printing Protocol 의 약자로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그나마 최근에 등장한 새로운 프로토콜입니다. 전통적으로 프린터라고 하는 장치는 컴퓨터에 USB등으로 직접 연결되서 동작하거나 Wifi 같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이 되는 경우에도 그 프린터가 로컬네트워크에 존재해서 인쇄데이터가 외부를 거쳐서 처리될 일은 없으니 데이터의 보안성을 따질일은 거의 없었습니다만..
구글같은 회사에서 클라우드 프린팅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면서는 보안성이 없는 인쇄 관련 프로토콜에도 일반적인 인터넷 프로토콜들과 같이 보안을 중요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이유로 애초에 출력을 하는 컴퓨터와 출력을 할 프린터가 원격지에 위치한 경우도 있을수 있기에 HTTPS같이 보안성을 높이면서 문제 없이 원격지간에 출력이라는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생겨난게 IPP라는 프로토콜 입니다.
문제는 아직 시중에 판매되거나 사용중인 프린터들이 네트워크 프린터가 아닌 상황이고 ..
프린터 제한이 존재하는 사이트들에서는 대부분 프린터가 USB로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전통적으로 네트워크 프린터들이 사용하는 Standard TCP/IP Port 같은 네트워크 포트가 아닌 경우에는 정상적인 프린터로 취급을 안해준다는 겁니다.한마디로 Mopria 를 지원하고 ARM용 윈도에 기본으로 내장된 대부분의 프린터 드라이버들은 Postscript나 PCL방식의 드라이버가 아니거나 정확한 모델명이 명시된 프린터 드라이버가 아니어서 모두의 프린터를 통해 출력이 가능한 드라이버가 존재 할 순 있지만 그 드라이버를 가지고 모두의 프린터의 주 사용처인 이런저런 사이트들에서의 사용은 현재로서는 힘듭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실;; 실리콘 맥만 아니었으면 그냥 ARM 기반의 컴터들은 무시하고 넘어갈 생각이었는데 말이죠 ..
근데 계속 늘어나니 어쩝니까 ;;
혹시나 사용가능한 프린터 드라이버가 있을까 하여 계속 찾아보고는 있습니다. 적정하게 모프와 같이 여러 사이트에서 사용가능할 적정한 드라이버가 찾아지는 그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