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경우 집에서도 사용하는 컴퓨터가 여러대 이지만 집에선 보통 NAS 및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크게 외장하드를 쓸 일이 없습니다만. 간혹 같은 작업을 집, 회사에서 번갈아가며 해야할일이 있습니다. 물론 개발 소스코드의 경우에는 git 이나 svn 등의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
개인적으로 만드는 이것저것을 위해 늘상 회사고 집이고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git, svn 서버를 운영한다는것도 오버인지라.. ssd 로 외장하드를 구성해서 집, 회사를 오가며 작업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 이렇게 뭔가를 하기 시작한게 한 두어달? 과거에는 이런 경험이 없었는데 이상하게 집에서 잘 작업하다가 외장하드를 회사에 가져가서 회사 컴퓨터에
물리기만 하면 집에서 생성한 파일이나 폴더가 사라집니다..
디스크 검사를 해보면 늘 오류가 있다고... 새로산 ssd이고 포맷을 하고 불량체크를 해봐도 문제는 없는데 계속 그럽니다..그래서 chkdsk 명령으로 확인을 해보니 보안설명자와 관련한 오류가 발견되서 해당 파일들을 삭제를 한다는 메시지가 발생을 하네요 ..
이런저런 사이트를 찾아보니 윈도에서는 보통 최근에 디스크를 포맷할때 FAT32 가 아닌 NT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을 하고 사용합니다. 이 NTFS 파일 시스템에는 사용자 권한과 관련된 정보도 포함되어 다루게 되는데요.. 아마 FAT32에서 NTFS로 전환되던 시기에 다른 컴퓨터에서 쓰던 하드를 새 컴터에 물려서 다루려 할때 권한이 있네 없네 하면서 메시지 창이 뜨는 경우를 보신 분들이 계실겁니다.
제가 새로 ssd를 사서 외장하드를 만들고 집 컴퓨터에서 포맷을 한뒤 필요한 파일들을 외장하드에 넣었는데요
쉽게 말해서 파일을 기록한 컴퓨터와 현재 연결한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이니 현재 연결된 시스템이 파일을 기록한 시스템이 아니란 이유로 보안문제로 보고 파일을 삭제해버리는것 같습니다.
정확한건 아닌데 마이크로소프트의 여러 글들의 내용을 보건데 그런 이유로 파일이나 폴더를 파일시스템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물론 관련 정책을 변경하여 적용을 하면 해결이 되지만 MS의 여러글들에서 권장하는 것은 정책을 변경하기 보다
비트락커(BitLocker)를 사용하길 권장하네요. 아마도 비트락커의 경우 NTFS상의 권한 문제에 앞서 패스워드를 통한 권한체계로 변경된 파일시스템을 쓰기때문에 비트락커를 쓰기를 권장하는것 같습니다. 그리하여 외장하드를 비트락커로 암호화를 한후 2주정도 사용중인데 거의 매일 발생하던 파일 사라지는 현상이 감쪽같이 없어지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