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곰's 모두의 프린터

모두의 프린터는 개인, 기업 상관 없이 누구나 무료로 사용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회원가입,카드결제등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광고를 통해 연결되는 사이트에서의 회원가입, 카드결제 피해를 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반응형

모프 초기버전 부터 존재한 기능인데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셔서 글하나 남깁니다.

 

 

관리페이지 하단에 보시면 "저장 파일명" 이라고 섹션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초기상태는 MOP 로 입력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출력되서 저장되는 파일명이

 

MOP.pdf

MOP(1).pdf

MOP(2).pdf

 

이런식으로 저장되게 되겠지요 저기 입력된 MOP를 원하시는대로 변경하시면 변경하신 이름으로 저장이 되게 됩니다. 단, 파일명에 사용할 수 없는 \/.:*?"<>| 같은 특수문자는 입력하실 수 없습니다.

 

사실 저렇게 해두셔도 파일명 만으로 언제 출력한 무엇인지 구분하기가 좀 어려울 수 있어서 치환자를 지원합니다.

 

$Y : 년

$M : 월

$D : 일

$H : 시

$I : 분

(대문자 I 입니다. 1이나 소문자 L아닙니다 )

$S : 초

$X : 문서명

$N : 컴퓨터명

 

기본적으로 $Y, M, D, H, I, S 는 출력된 시간입니다.

 

$Y$M$D_$H$I$S

 

이렇게 입력 하시면 20210121_131930.pdf  이런식으로 2021년 1월 21일 13시 19분 30초에 저장된 pdf 임을 파일명으로도 알수 있겠지요 좀더 편히 보고 싶으시면 

 

$Y년 $M월 $D일 $H시 $I분 $S초

 

이런식으로 입력해서 2021년 1월 21일 13시 19분 30초.pdf  라고 저장이 되게 할수도 있겠구요. 개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건 시간에 대한 치환자와 $X 입니다. 이 $X는 인쇄하는 프로그램에서 전달해주는 문서의 제목으로 치환되서 저장되는데요. 제목중 파일에 들어가지 못하는 특수문자가 있는경우 다른 특수문자로 바뀌어 저장되긴 합니다.

 

이렇게 입력하고 

 

 

이런 뉴스 기사를 출력해 보면 

 

이렇게 문서의 제목이 파일명에 포함되서 저장이 됩니다. 단 이건 출력명령을 내리는 프로그램에서 인쇄작업에 대한 정보를 모두의 프린터에 넘겨줄때 출력 문서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정상적으로 내려 줘야 가능한 것이구요.

 

만약 인쇄작업 데이터에 문서제목 데이터가 없으면 Unknown 이나 Untitled 등으로 표시됩니다. 각종 사이트의 인쇄제한 플러그인을 거치게 되는경우 이 문서 제목은 사이트명이나 인쇄제한 플러그인의 제품명이 체워져서 넘어오는 경우가 있으니 모든 경우에 $X 치환자가 유용하지 않다는건 염두해 두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