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이트들이 중복된 플러그인이 설치되는 편인지라 구라제거기와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각 플러그인 별로 시작, 정지를 시키는 방안으로 생각했던 부분이 있습니다만...
이 경우에 문제가 .. 어떤 사이트에서 어떤 플러그인이 필요한지 사용자가 정확히 알고 있기 어려운 면이 많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이 컴퓨터에 존재하는 모든 플러그인을 정지시키거나 시작시키거나.."
구라제거기의 경우에는 애초에 구라를 모두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니 문제가 없습니다만..
애초에 선별적으로 현재 사용하려는 사이트의 플러그인 만을 켜고.. 이용후 다시 죽여놓는 방향으로 목표한 모두의플러그의 입장으론 ..
사이트를 기준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목적에 부합할 것으로 보여 제가 조금 노가다가 늘더라도 사이트를 기준하여 동작하도록 개발되었습니다..
사실 이게 ;; 노가다가 좀 심해요 ㅎㅎ
가상머신에 윈도10을 하나 설치하고 아무것도 추가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에서 실행중인 서비스와 프로세스의 목록을 만들고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플러그인들을 설치 한 후 다시 서비스와 프로세스 목록을 만들어 추가로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대해 조사하고 그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는 방식이고.. 각 사이트마다 이 작업을 반복하는 .. 과정인지라 ^^
물론 현재는 관련 작업을 자동화 해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지만 .. 그래도 ^^ 좀 귀찮은 건 사실입니다..
***
***
2. 사이트 접속 여부는 어떤식으로 동작하는 것인지? 또한 CPU사용률은 어찌되는지요?
v1.0.1.0 이후 버전의 경우 IE, Edge, Firefox, Chrome 이 4종류의 브라우저에 대해서만 그것도 실행중인 브라우저에 대해서만 사이트 감시를 합니다.
기존과 같이 실행중인 모든 창을 검색하는 방식에서 좀더 최적화를 시킨 관계로
사이트 목록을 최적화 하시고 감지 주기 조정을 하시면 기존 대비 10% 정도의 사용율을 보이고 웹 브라우저가 실행중이지 않은 경우엔 cpu 자원은 거의 소모하지 않습니다.
우선 최근의 웹브라우저들이 내부에 탭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동작하고, 외부 프로세스에서 특정 웹브라우저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중인지에 대한 체크를 바이러스 들이 잘 쓰는 기술을 동원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체크하는 방법이 그리 많진 않습니다.
그런 이유로 모두의플러그는 주기적으로 윈도상 실행중인 창의 타이틀 텍스트를 기준하여 어떤 사이트에 접속중인지, 또 접속중이던 웹브라우저 창이 닫혔는지를 체크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실상 이 작업을 위해 소모되는 리소스가 무시할 정도는 아닙니다.
제가 현재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AMD 라이젠 2700x에 40G의 램을 사용중입니다만 2019년 8월 4일 기준 31개 사이트에 대해서 사이트 자동감지(실시간 감지)를 할 경우 ..
평균적으로 0.4 ~ 0.5% 정도의 CPU 사용율을 보이고 메모리는 평균 2.5~3메가 정도를 사용합니다. 보유중인 구형 노트북에서의 경우 인텔 구형 i7 2코어 4스레드에 8G램을 사용하는 경우에 같은 조건으로 구동시 1.5~3% 사이의 CPU 사용율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업데이트한 모두의 플러그는
선택제외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모두의플러그를 통해 관리되길 바라는 사이트들만 사이트 목록에 존재하도록 리스트 편집이 가능합니다. 라이젠 2700x인 시스템에서 31개가 아닌 5개의 사이트만 남겨 놓은 경우
사이트 감지 주기에 평균적으로 0.1% 정도의 사용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제가 사용하는 시스템 자체도 보편적인 기준으로는 고사양에 속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모두의 플러그가 소모하는 CPU 자원은 미미하다고 생각합니다"
라는 말을 하는게 아니며.. 전체 풀 리스트가 아닌 주 이용 사이트만 리스트에 남겨 놓고
1~10초까지 지정가능한 감지주기의 조정을 같이 사용 하시면 충분이 사용자 환경에 맞는 자원소모량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
물론.. CPU 사용량에 민감한 저사양 PC의 경우 사이트자동감지 기능은 사용하지 마시길 권장드리고 수동으로 필요시에 켜고, 끄는 방향으로도 사용가능 할 것이구요.
장기적으로는 이렇게 무턱대고 실행중인 창을 뒤져대는게 아닌 생성되는 프로세스를 캣치 하는 방식을 사용해 보려 하고 있습니다만, 이러한 식의로 감시하는 형태의 방식을 가장 많이 쓰는 것들이 바이러스 또는 백신들입니다. 아무래도 모두의 플러그가 개인이 만들어 배포하다보니 MS나 수 많은 백신 회사들에 "나 위험한놈 아니에요~~~"라고 일일이 접촉하거나 인증받거나 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기술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블랙리스트에 올라갈 위험성이 있어서 현재로썬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런 이유로 .. 어떤 면에선 사용자가 조금 귀찮거나 불편할 수도 있지만 .. 모두의 플러그의 사이트 리스트를 클릭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플러그인들을 활성화 시키고 해당 사이트를 열어준다던지 하는 방식도 생각 해보고 있습니다. 이런 방식을 쓸 경우 cpu 점유율은 거의 제로가 되겠지요 ^^
또는, Raw Socket 을 사용하여 ㅋㅋ 사이트 별로 플러그인의 존재여부를 체크하는 로직을 감지해볼까도 생각 중이긴 합니다만.. 제가 좀 귀찮긴 하겠지요 ㅎㅎ
개인적으로는 .. 수 많은 플러그인들이 동작하면서 잡아먹는 CPU 사용율에 비해선 모두의플러그 하나가 최소 1초 주기로 감지하기 위해 관련 로직을 실행하며 발생하는 CPU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낮지 않을까 라며... 개인적인 위안을 삶고 있습니다.
특히 제 경우 주로 사용하는 사이트가 민원24, 정부24, 대법원인터넷등기소, 가족관계증명서 4개 정도인데 이 사이트들의 플러그인들만 정리해도 200메가 정도의 메모리가 감소합니다. 저야 다다익램을 모토로 40기가라는 변태스러운(32기가면 32기가고 64기가면 64기가지 ㅋㅋ 40기가;; ) 메모리를 보유중인지라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으나 사무용 PC들중엔 아직도 4기가 메모리를 사용중인 컴퓨터들도 많이 존재합니다. 윈10이 기본적으로 3기가 가까운 램을 잡아먹는 상황에서 남은 1기가중 200메가는 엄청난 비율이겠지요 ^^..
하여튼간에 .. cpu 사용율에 대한 부분은.. 모두의플러그 자체가;; 개발 기간 자체가 몇시간 안되는 놈인지라. 점차 개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
3. 보안툴은 무엇이고.. 왜 이놈들은 정지,시작이 아니라 제거, 설치의 과정을 거치는지 ?
제가 보안툴이라 명명한 것들은 가장 크게 Ahnlab Safe Transaction 과 nProtect 2가지 입니다. WebDrm 관련된 한놈도 있긴 합니다만.. 보편적으로 보면 저 2가지가 가장 큽니다. 일반적으로 사이트에서 설치되는 백신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이놈들은 ... 정지가 안됩니다.
보통 하나의 서비스와 두세개의 프로그램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비스고 프로그램 프로세스고 정지, 중단, 죽이기 등 어떤 짓도 되지 않습니다. 아마도 윈도 개발사인 MS와의 어떤 인증관계 그런 것을 통해서 특정 방식으로 개발된 서비스나 프로세스의 경우 관리자 권한으로도 중지시키거나 죽이지 못하는 형태로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서비스의 형태중 NOT_STOPPABLE 이라는 놈이 존재하는거 보면 .. )
보통 이 보안툴들은 .. 서비스로 등록된 프로세스가 시작되면서 기타 새끼(?)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형태를 취합니다. 서비스로 등록된 프로세스가 죽을 경우엔 윈도에서 자동으로 살려주고 서비스가 아닌 프로그램 프로세스들은 .. 실행중인 서비스가 살려줄테니 실행만 됫다면 죽지 않는 죽일수 없는 좀비(는... 뚜따를 하면 죽기라도 하지..)가 되는 거지요..
물론 이놈들의 개발자들은 실행된걸 정지는 못시키지만 윈도 시작시 서비스를 시작되지 않도록 설정을 변경은 가능하다 라고 변명할 순 있겠습니다만.
이는 설정을 변경후 윈도룰 재시작 해야 한다는 말이 되구요.. 모플에서 실행안된 서비스를 시작시킨 경우엔 윈도 재시작 전엔 해당 프로세스들을 죽일 방법은 없다는 말이 됩니다.
그러한 이유로 .. 보안툴로 분류된 놈들은 정지, 시작이 아닌 제거, 설치로 방향을 잡은 것입니다.
아마도 앞으로도 ;; 이런 놈들은 이런 방식 외에는 방법이 없을 것 같긴 하네요;; 그나마 양심은 있는지 특정 사이트 접속시에만 관련 프로세스를 실행시키지만.. 그래도 이놈들도 그 특정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기다리는건 매한가지 아니겠습니까 ㅎㅎ ..
***
***
4. 사이트는 어느 정도까지 추가하실 예정인지?
우선 자주 쓰는 정부사이트들이 1순위 대상이고 .. 주요 은행은 이미 추가한것 같구요 ..
새마을금고 같은 저축은행류는 좀 고민중입니다.. 지방 은행 사이트들 추가하면서 보니 -_-;; 좀 고생스럽더라구요 .. 그래도 1금융권 은행인데도 그런데 저축은행들은 솔직히 건들기 좀 겁나긴 합니다 ^^
그리고 주식거래 사이트하고, 보험사이트들 요청이 좀 많아서 ..
HTS 도 기본적으로 키보드 보안이나 인증서 관련 무언가를 깔기도 하더라구요..
여튼 .. 시간나는대로 하나둘씩 추가할 예정이구요 ..
댓글 남겨주시면 .. 중요도 따져서 틈틈히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
모두의 프린터도 그렇지만 모두의 플러그도 제가 쓸려고 만든겁니다. 쓸려고 만들고 보니 또 어딘가에 나같이 빡치는 사람들이 분명 있을거라 생각해서 배포하는 겁니다.
그말은 ㅎㅎ 제 맘이란거죠 ^^
개인, 단체, 기업 어디든 맘대로 쓰십시요. 하지만 그에 따른 책임도 본인들이 지는겁니다 ^^
피드백 언제나 환영이지만 ..
"어서 해놓지 못할까~~" 를 살벌한 표현으로 들이대시면 ㅋㅋ
흑화하여 육두문자 남발하는 피로곰을 맞이하실 수 있으니 주의 바라구요.
또, 모두의플러그 배포글을 퍼가시는 분들중에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구라제거기는 제가 만든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간혹 구라제거기를 만든 개발자가 모두의프린터랑 모두의플러그를 만들었다고 ;;;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저 아닙니다~~ ^^ 피로곰은 모두의프린터, 플러그를 배포중일 뿐입니다. 구라제거기는 저도 정말 유용하게 사용중인 좋은 프로그램이구요.